[삼성 SW 역량 테스트] with Pyt

[삼성 SW 역량 테스트 - 14499번] 주사위 굴리기 with Python

Evolving Developer 2023. 3. 28. 16:32

예제


크기가 N×M인 지도가 존재한다. 지도의 오른쪽은 동쪽, 위쪽은 북쪽이다. 이 지도의 위에 주사위가 하나 놓여져 있으며, 주사위의 전개도는 아래와 같다. 지도의 좌표는 (r, c)로 나타내며, r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주사위는 지도 위에 윗 면이 1이고, 동쪽을 바라보는 방향이 3인 상태로 놓여져 있으며, 놓여져 있는 곳의 좌표는 (x, y) 이다. 가장 처음에 주사위에는 모든 면에 0이 적혀져 있다.
지도의 각 칸에는 정수가 하나씩 쓰여져 있다. 주사위를 굴렸을 때, 이동한 칸에 쓰여 있는 수가 0이면, 주사위의 바닥면에 쓰여 있는 수가 칸에 복사된다. 0이 아닌 경우에는 칸에 쓰여 있는 수가 주사위의 바닥면으로 복사되며, 칸에 쓰여 있는 수는 0이 된다.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와 이동시키는 명령이 주어졌을 때, 주사위가 이동했을 때 마다 상단에 쓰여 있는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주사위는 지도의 바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 가로 크기 M (1 ≤ N, M ≤ 20),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 x, y(0 ≤ x ≤ N-1, 0 ≤ y ≤ M-1), 그리고 명령의 개수 K (1 ≤ K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에 쓰여 있는 수가 북쪽부터 남쪽으로, 각 줄은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주사위를 놓은 칸에 쓰여 있는 수는 항상 0이다. 지도의 각 칸에 쓰여 있는 수는 10 미만의 자연수 또는 0이다.
마지막 줄에는 이동하는 명령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동쪽은 1, 서쪽은 2, 북쪽은 3, 남쪽은 4로 주어진다.

출력


이동할 때마다 주사위의 윗 면에 쓰여 있는 수를 출력한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해설 1 - 로직 구현 전 기본적인 틀 생성

  • 정육면체 주사위를 배열로 표기 -> 0부터 5까지 크기가 6인 배열 dice 생성
  • 주사위의 초기 값은 0으로 초기화
    • dice = [0, 0, 0, 0, 0, 0]
  • 세로 크기 / 가로 크기 / 주사위 좌표 / 명령 개수를 띄어쓰기로 구분해 입력받기
    • input().split()
  • 주사위 판과 명령어의 집합 입력받기
  • 명령어 '1 2 3 4' 는 순서대로 '동 서 북 남'을 의미
    • 동서북남으로 한 칸씩 이동하는 것을 좌표로 표현하면
    • board_move = [(0, 0), (0, 1), (0, -1), (-1, 0), (1, 0)]

소스 코드 1 - 로직 구현 전 기본적인 틀 생성

dice = [] # 주사위
for i in range(6):
    dice.append(0) # 주사위 값은 0으로 초기화

# 세로 크기 / 가로 크기 / 주사위 좌표 / 명령 개수
N, M, x, y, K = input().split()
N = int(N); M = int(M); x = int(x); y = int(y);

board = [] # 주사위 판
# 주사위 판 입력받기 (정수형)
for i in range(int(N)): # 세로
    board.append([])
    array = input().split()
    for j in range(int(M)): # 가로
        board[i].append(int(array[j]))

# 명령 입력받기 (# 동 1 서 2 북 3 남 4)
direction = input().split()

board_move = [(0, 0), (0, 1), (0, -1), (-1, 0), (1, 0)] # 동서북남
result = [] # 출력 값

for k in range(int(K)): # 명령 개수
    dir = int(direction[k])
    dx, dy = board_move[dir] #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x, y 좌표
    dx+=x # x 좌표 이동해서 dx에 저장
    dy+=y # y 좌표 이동해서 dy에 저장

for i in result:
    print(i)

해설 2 - 주사위 로직 생성

  • dice 배열의 인덱스가 나타내는 주사위의 면은 고정돼 있다고 생각
    • 예를 들어, 위의 사진을 기준으로 dice[1]은 무조건 주사위의 윗면
    • 예를 들어, 위의 사진을 기준으로 dice[3]은 무조건 주사위의 아랫면
  • 만약 주사위가 동쪽으로 한 칸 굴러간다면 그에 맞게 주사위의 값이 갱신돼야 함
    • next_dice[1] = dice[4]
    • next_dice[3] = dice[5]
    • next_dice[4] = dice[3]
    • next_dice[5] = dice[1]
  • 위와 같이 '동 서 북 남'을 고려해서 주사위 배열의 값을 바꾸어주는 로직이 필요

소스 코드 2 - 주사위 로직 생성

# 주사위 이동 (동서북남)
def move(direction):
    if direction == 1:
        dice[1], dice[3], dice[4], dice[5] = dice[4], dice[5], dice[3], dice[1]
    elif direction == 2:
        dice[1], dice[3], dice[4], dice[5] = dice[5], dice[4], dice[1], dice[3]
    elif direction == 3:
        dice[0], dice[1], dice[2], dice[3] = dice[1], dice[2], dice[3], dice[0]
    elif direction == 4:
        dice[0], dice[1], dice[2], dice[3] = dice[3], dice[0], dice[1], dice[2]

# 주사위 판 <-> 주사위 복사하기
def copy_dice(x, y):
    if not board[x][y]: # 주사위 판의 값이 0이라면
        board[x][y] = dice[3] # 주사위 -> 주사위 판 복사
    else: # 주사위 판의 값이 0이 아니라면
        dice[3] = board[x][y]  # 주사위 판 -> 주사위 복사
        board[x][y] = 0 # 주사위 판의 값은 0으로 초기화

for k in range(int(K)): # 명령 개수
    dir = int(direction[k])
    dx, dy = board_move[dir] #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x, y 좌표
    dx+=x # x 좌표 이동해서 dx에 저장
    dy+=y # y 좌표 이동해서 dy에 저장
    if 0<=dx<N and 0<=dy<M: # 주사위 판을 넘기지 않는다면
        move(dir) # 주사위 이동
        copy_dice(dx, dy) # 주사위 판 <-> 주사위 복사
        result.append(dice[1])
        x, y = dx, dy

for i in result:
    print(i)